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채소가 가진 색의 특성 오늘은 우리가 주변에서 아주 흔히 볼 수 있는 채소에 대한 여러가지 특징을 가지고 왔습니다. 채소류의 특징은 생각보다 간단하면서 많고 색의 특징은 조리하면서 이미 많이 보이지만 자세히 알면 내용들이 재밌고 알고 조리를 하다보면 신기하답니다.!! 그럼 일단 채소류의 색의 특성을 알기전에 채소가 가진 특징부터 하나하나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합니다.!! 채소류의 분류는 채소는 잎, 줄기, 뿌리, 구근, 열매 꽃 등을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분류 이용부위 경채류 지상부의 잎 이용(잎채소) 근채류 지상부의 줄기 이용 구근류 뿌리 이용 과채류 알뿌리 식물 과채류 열매 이용 화채류 꽃 이용 채소류의 향미성분은 당분, 유기산, 무기염류, 휘발성 황화합물, 타닌이 있습니다. 유기산에는 비휘발성 유기산(사과산, 구연산, 옥살.. 2023. 6. 25.
식품영양학과에서 배우는 과목과 내용들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영양학과에서 배우는 내용들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해요. 물론 모든 대학교가 완전히 똑같은 과목을 배우지는 않지만 영양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꼭 수강해야 하는 과목들이 있어 공통적인 부분이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식품영양학과에서는 어떤 과이며 어떤 과목들에 대해 공부할까요? 식품영양학과는 식품 자체의 성질과 구조, 식품 섭취후 인체에서 일어나는 변화, 식품과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내용을 배우는 과입니다. 주로 화학과 생명과목을 기반으로 배우게 됩니다. 졸업 후 한가지 길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이 있다. 맛, 향, 종류, 미생물 등 여러 관심분야가 있어 주로 2학년 2학기나 3학년때 관심사를 정해 더 관심있는 과목을 신청해 수강하게 됩니다. 각각의 실험실이 있어 연.. 2023. 6. 21.
음식에 따라 반응하는 미각과 후각의 원리 이번 내용은 미각과 후각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미각과 후각이 반응하면서 맛있다, 맛없다 등 여러 맛표현을 가지게 된다. 또 음식을 입에 넣기 전에 후각만으로 호감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어떤 원리로 미각과 후각이 반응하는 걸까? 미각과 후각은 각각 미각수용체와 후각수용체로 감지하게 된다. 이 수용체들은 외수용체에 속하는데 외수용체란 외부 환경에서의 화학적 변화에 반응하는 화학수용체를 말한다. 미각수용체는 식품이나 음료수에 녹아 있는 화학물질에 반응하고 후각수용체는 공기 중 기체 분자에 반응한다. 그러나 후각이 자극되려면 우선은 공기 중의 분자도 후각점막 내의 점액에 녹아들어야 하기 때문에 미각 수용체와 후각 수용체의 이러한 구별은 다소 임의적인 것이다. 또한 후각이 미각에 강하게.. 2023. 6. 21.
바이러스로 부터 우리 인체가 살아남는 방법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 수많은 바이러스들과 마주하게 된다. 성장하면서 우리가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바이러스들도 있지만 노출되어 우리를 아프게 하는 바이러스 들도 만나며 살아간다. 이처럼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침입하였을때 우리 몸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바이러스의 침입으로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작용을 방어기작 이라고 한다. 면역체계는 병원체에 대한 방어를 제공하는 구조와 반응 체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방어는 선천(비특이) 면역(innate)과 후천(특이) 면역(adaptive or specific immunity) 으로 나뉜다. 선천 방어 기작은 각 생명체 구조의 일부로서 유전된다. 피부의 표피를 포함하는 점막은 온몸의 표면을 덮는다. 이 상피막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물리적 장벽의 표면적.. 2023. 6. 20.
섭취해야하는 필수 아미노산과 그 외 아미노산의 성질은? 우리 몸은 수많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백질의 기본 단위가 아미노산 입니다. 이러한 아미노산은 우리몸에 꼭 필요한데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고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이러한 분자를 필수(essential)라고 합니다. 9개의 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은 리신(lysine), 트립토판(tryptoph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류신(leucine), 아이소류신(isoleucine), 히스티딘(histidine) 등이 있습니다. 신체내에서 합성되어 우리 몸에서 활동이 일어나는 아미노산들을 비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합니다... 2023. 6. 18.
당뇨병은 왜 생기는 걸까? (종류, 자세한 원리 등) 이번 내용에서는 당뇨병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식품영양학과에서 왜 이런 질병들은 공부하나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영양이라는 전공과목은 인체내의 특징과 음식을 섭취했을때 발생하는 우리 몸의 반응과 어떤 식품이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여 기전을 이루는지에 대해 배운답니다. 그래서 이러한 질병들도 다 함께 공부를 하게 됩니다. 임상영양사 (병원에서 일하는 영양사) 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질병 내용을 더욱 심화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그럼 오늘의 질병 당뇨병에 대해 알아봅시다. 만성 고혈당 또는 고혈당증은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징표가 됩니다. 당뇨병은 1형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1형 당뇨병(type 1 diabetes)은 인슐린 베타 세포가 점진적으로 파괴되고 인슐린을 .. 2023. 6. 17.